본문 바로가기

반응형

전체 글

(82)
[Material] 경도(Hardness)와 강도(Strength)의 차이 경도(Hardness)와 강도(Strength)의 차이 1) 정의 1) 경도(Hardness) 재료의 표면에 가해지는 힘에 대한 저항력을 의미합니다. 다시 말해 재료 표면의 단단함 정도를 말합니다. 2) 강도(Strength) 재료가 외부에 하중과 같은 힘을 받았을 때 재료가 전체적으로 버티는 저항을 의미합니다. 다시 말해 강도는 어느 특정 부분의 변형이 아닌 재료 전체가 변형되는 것으로 강도를 표현합니다. 2) 예시 1) 유리는 나무보다 더 높은 경도를 가집니다. (유리조각으로 나무를 긁으면 나무가 긁힌다.) 2) 반면에 나무는 유리보다 더 높은 강도를 가진다. (유리막대와 나무막대를 서로 충돌시키면 유리막대가 부러집니다.)
[Material] ASTM과 ASME 차이 ASTM & ASME Material ASTM은 앞에 S를 ASME는 앞에 SA를 붙여 표현하여 구분을 할 수 있습니다. ASME 재질은 ASTM을 일부 발췌하여 압력 기기에 들어가는 재료로 사용하는 것입니다. 따라서 ASME와 ASTM은 동일한 부분이 많이 있지만, 항상 똑같지는 않습니다. ASME Material의 검사 사항 등 세부 내용으로 보면 ASTM에 없는 내용이 추가된 경우가 있습니다. 그리고 ASTM과 ASME 재질을 동일한 재질로 생각하고 혼용해서 사용할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다시말해 SA516과 A516이 내용상으로는 똑같지만 두 개를 혼용해서 사용할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ASME에서는 ASTM에서 재질을 따오면서 ASTM 몇 년도 ..
[Material] PWHT (후열처리) PWHT (Post Weld Heat Treatment) 1. 정의 용접부 또는 그 근방을 재료의 변해점 이하의 적절한 온도까지 가열, 유지, 균일한 냉각 과정을 통하여 용접부의 성능을 개선하고 용접 잔류응력 등의 유해한 영향을 제거하는 것 2. 목적 1) 용접 잔류응력 완화 2) 형상치수의 안정 (정밀기계기공 목적 등) 3) 용접부 및 구조물 성능 개선 - 용접 열영향부 연화와 조직의 안정 - 용착 금속 연성 증대 - 파괴인성의 향상 - 함유 가스의 제거 - 크리프 특성 개선 - 부식에 대한 성능 향상 - 피로 강도 개선 3. 모재 용접부 및 구조물 성능 개선 1) 열영향부 연화 및 조직 안정 - 연화는 고온, 장시간 조건에 유리하나 너무 지나쳐 오히려 강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주의 - PWHT의 조직 ..

반응형